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PSY) 공부31

도저히 참을 수 없어! 항상 불안에 빠지는 강박장애 우리가 저번에 배웠던 완벽주의도 강박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강박장애는 자신이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떤 생각이 자꾸 들거나 행동을 하게 되는 걸 말합니다.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이 너무 높을 때 완벽주의가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이런 완벽주의가 강박장애와 만나면 더 불안해지는 결과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강박장애의 사례 (1)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은 A군은 자신의 실수를 용납하지 못하고 도망쳐 나오게 된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하기 마련이고 신입이라면 당연하다. 하지만 실패한다면 더 큰 좌절감을 느낄 것이 분명했기에 사표를 냈다. = 완벽주의와 결합한 강박장애입니다. (2) B양은 자신의 물건에 각이 잡힌 것을 좋아한다. 대칭적으로 완벽한 각을 이루지 않을 시 하루 종일 생각나며 정리를 해야 마음이.. 2021. 12. 26.
나 100억 자산가야, 공상 허언증의 정의와 고치는 법 "나 100억 자산가야. 아는 사람 중엔 유명한 연예인이 있어. 그리고 어딜 가봤는 줄 알아?" 이 말을 듣자마자 무엇이 떠오릅니까? 바로, 허언증입니다. 대개 정신병력의 공상 허언증은 실제로 자신이 그렇다고 믿습니다. 여러분 살면서 거짓말을 한 적이 있습니까? 제 질문이 조금 우습군요. 살면서 거짓말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화이트 거짓말이라든지, 우리는 종종 다른 이를 위해 선한 거짓말로 속이기도 합니다. 공상 허언증의 정의 자신이 생각하는 '나'의 존재가 이상적으로 너무 높은 나머지 다른 것을 꾸며내며 속입니다. 보통 관심받으려고 그렇습니다. 공상 허언증은 정신 병력으로 말을 매우 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직접 경험한 듯 현란한 말솜씨로 사람들을 홀립니다. 아주 매력적이게 말이죠. 처.. 2021. 12. 25.
MBTI 성격 유형의 선호 경향. 양극 차원.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의 특징) MBTI는 융(Jung)의 성격유형 이론을 근거로 하여 마이어스-브릭스가 개발한 검사도구입니다. 무엇을 더 선호하며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것에 집중하는가, 인식에 대해 어떻게 결론을 내리는가 등등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MBTI 성격의 양극 차원을 알아봅시다. 외향과 내향, 감각과 직관, 사고와 감정, 판단과 인식으로 나누어집니다. MBTI 성격의 양극 차원 지표 선호경향 외향(E)-내향(I) 에너지의 방향 외향형 : 밖에서 에너지를 보충합니다. 사교적이며 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합니다. 내향형 : 안에서 에너지를 보충합니다. 소수의 친구를 사귀며 조용하고 신중합니다. 감각(S)-직관(N) 무엇을 인식하는가? 감각형 : 오감에 의존. 실제 경험을 중시하며 정확하고 철저하게 일처리를 합니다. 직관형 : 직.. 2021. 12. 23.
날 괴롭게 하는 열등감 심한 열등감과 자격지심을 가진다면 많은 문제가 생깁니다. 적당한 열등감은 경쟁 구도에서 의욕이 생기게끔 합니다. 뭐든 잔잔한 마음의 상태로 유지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지만 당신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인간은 누구나 열등감이나 자격지심을 경험합니다. 다만, 심한 열등감을 가진 경우 알아차리는 게 중요하죠. 열등감이란? : 타인과 계속 비교하면서 '나'를 낮추고 공격하는 감정을 말합니다.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것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현대에는 SNS의 발달로 반짝반짝 빛나는 일상을 공유할 수 있게 됐습니다. 맛있는 음식, 비싼 옷 등등 하루에도 수만 가지의 사진이 인터넷을 도배합니다. "다 나보다 행복하고 잘나 보여. 난 쓸모없는 인간인가 봐." -> 점차 자기혐오, 비하로 빠져들죠. 그렇다면 .. 2021.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