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완벽주의가 일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거 알고 계셨습니까? 보통 '완벽'은 좋은 것이로 생각하죠. 인간은 완벽할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열심히 그것을 추구합니다.
완벽주의란?
=> 말 그대로 무슨 일을 하든 완벽하게 해야 직성이 풀리는 걸 의미합니다. "높은 결과물"에 집착하여 강박적인 태도로 과제에 임합니다. 잘 풀리지 않는다면 자기 비하를 해가면서 심리적으로 위축됩니다. 또 엄청난 스트레스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학교 과제인 리포트를 작성한다고 생각해봅시다. 리포트를 쓰려면 무엇부터 하죠? 주제, 소재를 정한 후 세부사항을 결정해야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말이 쉽지,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 자꾸 미루게 되는 분들 계십니까? "유튜브 영상 하나만 봐야지, 산책 조금만 하다가 해야지, 카톡 답장이 밀렸는걸." 등등 다양한 핑계거리로 자신을 숨깁니다.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이런 현상을 "게으른 완벽주의"라고 합니다.
높은 결과물을 얻고 싶은 나머지 심리적으로 자꾸 미루는 겁니다. 요즘 학생들을 봐도 알 수 있죠. "엄청난 스펙의 사람이 이어야만 취업할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하는 분이 많아 보입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이 정도의 자격증으론 어림없지 하면서 자꾸 비하하고 도망쳤습니다.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의 결과물이 실패하면 극도의 무기력감을 보입니다. 좌절하기도 쉽습니다.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에 매우 민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완벽주의는 우울증, 강박증 등의 다른 정신병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현실을 직시하여 어느 정도 결과를 낼 수 있는지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은 완벽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자신의 "완벽주의"는 대체 어디서부터 온 건지 확인해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나', '타인' 도대체 누굴 위한 완벽입니까?
아마도 '타인'의 시선에 맞추어진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타인으로부터가 아니라 '나'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무얼 좋아하는지 등의 자기 탐색은 자존감을 높여줄 겁니다.
저는 인생 자체를 "자신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라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저와 함께 심리학 공부를 하면서 치료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심리학(PSY)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 100억 자산가야, 공상 허언증의 정의와 고치는 법 (0) | 2021.12.25 |
---|---|
MBTI 성격 유형의 선호 경향. 양극 차원.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의 특징) (0) | 2021.12.23 |
날 괴롭게 하는 열등감 (0) | 2021.12.22 |
인지·정서·행동 상담(REBT) 비합리적 신념의 당위성 유형 (0) | 2021.12.21 |
방어기제의 종류와 의미 알아보기 (0) | 2021.12.20 |
댓글